1. npm clean cache -f
( 캐쉬 정보 지우기 )
2. n 설치 ( n은 node js 버전 관리 )
npm install -g n
이나 -g은 글로벌의 약자이므로,
root 권한이 아닌 개인 계정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-g를 빼고 설치하면 됩니다.
환경 변수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
n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.
그럴때는 node_modules/n/bin 디렉토리에 들어가
n 데몬을 직접 실행시켜주시면 됩니다.
버전 변경
./n lts : lts 버전 설치
./n stable : stable 버전 설치
./n lastest : 최신버전 설치
./n 10.14.1 : 10.14.1 버전 설치 (다른 버전도 가능)
./n 실행시
위와 같이 설치 된 버전 확인 및 현재 node 버전을 정할수 있다.
node version 확인은
node -v
참고 블로그
http://sensebench.tistory.com/393
+
sudo가 없을 경우
https://code.i-harness.com/ko-kr/q/99bf56
'배우고 있습니다 > Node.js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.js 활용기] 웹 크롤링 준비 (1) 기본편 (0) | 2018.12.11 |
---|---|
[Node.js 개발일지] node.js에서 curl 처리 (ajax/request) (3) | 2018.12.06 |
[Node.js 개발일지] node.js 전역 변수, global 사용 (0) | 2018.12.06 |
[Node.js 개발일지] java / node-gyp 설치 오류 (0) | 2018.12.06 |
[Node.js] npm ERR! Error: CERT_UNTRUSTED (0) | 2018.12.04 |